본문 바로가기
자기계발서

[자기계발서] 태크 커리어 도서 리뷰

by 알쓸신잡머니 2023. 4. 18.
728x90

테크 커리어

 테크커리어란 말 들어보셨나요? 저자인 돈존스는 미국 실리콘밸리 기업인 구글과 애플 등에서 엔지니어로 근무하며 자신만의 기술기반 창업을 한 경험을 토대로 이 책을 집필했습니다. 저자는 현재 한국에서도 인기있는 인공지능 스피커 ‘구글홈’ 개발자이기도 합니다. 또한 세계 최대 검색엔진 회사인 구글에서는 최초로 여성 임원직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어떻게 하면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테크커리어를 쌓을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엔지니어라는 직업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가요?

 엔지니어는 과학기술 분야나 산업현장에서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 인력입니다. 즉, 공학계열 전공자들이 주로 진출하는 직종이죠. 엔지니어링(engineering)이란 단어 자체가 영어로 ‘공학’이라는 뜻이기 때문에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 엔진 같은 기계장치를 설계하거나 비행기 날개 모양을 디자인하는 작업들을 모두 엔지니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장비 및 장치를 다루는 제조업 뿐만 아니라 IT업계 종사자들도 대부분 엔지니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공대생 취업률은 얼마나 되나요?

 한국고용정보원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국내 4년제 대학 졸업자 중 이공계 출신 비중은 54%이며, 특히 전자·전기·기계 관련 학과 졸업자는 전체 대졸자의 절반 이상인 56%였습니다. 반면 인문사회 계열 학생 비율은 14%에 불과했죠. 이렇듯 많은 인원이 공과대학에 진학하다보니 자연스럽게 높은 취업률을 자랑하게 됩니다. 실제로 2015년 삼성전자 입사자 중 90%이상이 전기·전자·컴퓨터·기계관련 전공자였으며, 현대자동차 역시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대기업 취직하면 끝 아닌가요?

 많은 취준생들이 대기업에만 들어가면 모든 게 해결될 거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연봉 인상폭이 크지 않고, 승진 기회도 많지 않기 때문이죠. 그래서 최근에는 중소기업이라도 안정성 있고 비전이 있는 곳이라면 이직을 고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경력직 채용시장이 매우 좁다는 점입니다. 신입사원 공채처럼 직무경험이 부족한 지원자에게 문호를 개방하기보다는 이미 해당분야에서 충분한 경험을 쌓은 인재를 선호하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다른 방법은 없을까요? 정답은 “있습니다” 입니다. 바로 스타트업에서의 경력 쌓기입니다.

 지금까지 테크커리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여러분께 도움이 되었나요? 앞으로는 좀 더 넓은 시야로 세상을 바라보고 도전하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댓글